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고압가스

고압가스 시설 별 기술기준(KGS Code) 정리

by 천둥벌거숭이 2023. 1. 19.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된 기술기준은 코샤가이드(KOSHA Guide)이며,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최신 기준을 확인해 볼 수 있고, 고압가스 안전관리법과 관련된 기술기준은 KGS Code이고, 가스기술기준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최신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코샤가이드의 경우, 비교적 원하는 기술기준을 찾아보기 쉬운데, KGS Code는 살짝 그렇지 못한 편이다. 이유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라 구분되는 고압가스 시설들의 명칭이 다양하고, 시설 명칭 간에 중복되는 단어가 꽤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KGS Code 명칭조차 어떤 것은 '감리'나 '정밀안전검진'이라는 단어가 포함되고, 어떤 것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경험했던 고압가스 시설들과 관련된 KGS Code가 각각 무엇인지 숙지하기 편하도록 표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고압가스 시설 별 기술기준(KGS Code) 정리표 

 

구분 고압가스 시설 구분 KGS CODE
번호
KGS CODE 명 비고
1 특정 제조 시설 FP111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시설/기술/검사/감리/정밀안전검진 기준




시설
2 특정 고압가스사용 시설 FU211 특정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3 일반 제조 시설 FP112 고압가스 일반제조의 시설/기술/검사/감리/안전성평가 기준
4 일반 저장 시설 FU111 고압가스 저장의 시설/기술/검사/안전성 평가 기준
5 일반 충전 시설 FP211 고압가스 용기 및 차량에 고정된 탱크 충전의
시설/기술/검사/안전성평가 기준
6 냉동 제조 시설 FP113 고압가스 냉동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7 특정설비
(=압력용기, 저장탱크)
AC116 고압가스용 저장탱크 및 압력용기 재검사 기준
설비

 

→ 가스기술기준정보시스템에서 고압가스 시설 별  관련 KGS Code를 찾아보다가 사업장에서 자주 활용되는 고압가스용 저장탱크 및 압력용기 재검사 기준(AC116)도 있어서 추가로 기입해 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