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산업안전45 유해위험기계기구 이동식크레인 안전검사 후기(미리 알면 좋은 정보) 몇 년 전 까지는 고정식 크레인(천장크레인, 호이스트 등)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검사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동식 크레인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몇 년 전부터 이동식 크레인 또한 법적 검사기관으로부터 안전검사를 받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얼마 전 이동식 크레인 안전검사받았는데요. 그 후기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아래 유해위험기계기구 중 크레인 안전검사 관련 글을 아래 링크에 정리해 두었으니 필요하신 분은 참조하시길 바랍니다.2023.06.05 - [안전관리/산업안전] - 크레인 안전검사 대상, 주기, 수수료, 검사항목 크레인 안전검사 대상, 주기, 수수료, 검사항목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하는 '유해위험기계기구' 중에 제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는 '크레인'.. 2024. 11. 12. 산업안전보건법 관리감독자 정의 및 업무 7가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는 관리감독자의 정의와 이러한 관리감독자 분들이 법적으로 해야하는 업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관리감독자 정의(관리감독자란?)관리감독자의 정의는 위와 같이 산안법 제16조에 명시 되어있다. 관리감독자는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으로, 보통 파트장, 팀장 등, 교대 조장 등을 관리감독자로 지정 한다. 2. 관리감독자의 업무(해야하는 일)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5조에는 이러한 관리감독자가 해야하는 일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1) 관리감독자는 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유해위험기계기구와 그 외에 위험할 수 있는 설비에 대해서 점검과 이상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서 관리감독자는 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유.. 2024. 11. 8. 유해위험기계기구 안전검사, 자율검사프로그램 비교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유해위험기계기구라는 위험한 기계나 기구는 안전인증 또는 자율안전환인신고 또는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여기서 안전검사의 경우 해당 기계기구를 사용하는 자가 주기적으로 국가공인검사기관의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안전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사업장 자체적으로 자율검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율검사프로그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안전검사와 비교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해위험기계기구란?유해위험기계기구에 대해서는 예전에 정리해 둔 글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참조하시기 바랍니다.2020.12.21 - [안전관리/산업안전] -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기구' 종류를 한 눈에 알아보자!(20.. 2024. 8. 21.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과정 및 절차(용어 정리 까지)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된 이후 여러 판례가 쌓이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큰 사고들에 대해 중대재해처벌법 수사과정이 속보로 뜨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과장 및 절차와 이를 이해하기 위한 용어 설명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중처법 수사 과정 및 절차(도식화)1단계. 수사 착수(고용노동부, 경찰 각각)우선 해당 사업장에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면 노동부에서는 중처법과 산안법 위반 혐의를 파악하기 위해 수사를 하게 되고,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사 여부(사측에서 사고의 원인을 제공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사를 하게 됩니다. 2단계. 검찰 송치(고용노동부, 경찰 각각)고용노동부와 경찰 각각 수사 결과에 따라 기소 할지 불기소할지 판단을 합니다.노동부는 기소.. 2024. 7. 1. 스마트 안전장비 알아보기(스마트 에어백 이란?, 사업장 적용 검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이제 스마트 안전장비를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처리하기 수월 해졌습니다.물론 구매는 아니고 임대비로만 처리 가능합니다.(산업안전보건관리비 총액의 10% 까지만 사용 가능)오늘은 이러한 스마트 안전장비 중 '스마트 에어백'에 대해 알아보고 사업장 적용 검토를 해보겠습니다. 안전관리비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2024.06.25 - [안전관리/산업안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기준 밎 사용 가능 항목('24년 7월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기준 밎 사용 가능 항목('24년 7월 ~)우리나라 일정 규모 이상 공사 현장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총 공사금액의 일부는 오직 '안전'을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안전' 만을 위해 사용.. 2024. 6. 30.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기준 밎 사용 가능 항목('24년 7월 ~) 우리나라 일정 규모 이상 공사 현장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총 공사금액의 일부는 오직 '안전'을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안전' 만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돈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약칭 '안전관리비')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장 기준 및 가용 가능 항목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목적 산재 예방 위해 발주자(원청)에게 공사종류 및 규모에 따른 일정금액을 도급금액(하청에게 주는 금액)에 별도 계상토록 하고, 시공자(하청)는 계상된 금액을 건설공사 중 안전관리자 임금, 안전시설비, 안전보건진단 등에 사용해야 함.※ 계상 뜻 (셈할 계 計 + 위 상 上) : 회계 용어로 '숫자를 계산해서 장부에 올린다.'라는 뜻으로 안전관리비 계상은 '공사금액을.. 2024. 6. 25. 안전난간의 발끝막이판 설치 기준(안전보건규칙 제13조) 건설업, 제조업 가릴 것 없이 사업장에서 안전난간을 많이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안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안전난간이 은근히 많은데요. 오늘은 이 난간의 구성요소 중 발끝막이판에 대해서 조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안전난간과 발끝막이판 안전난간은 기본적으로 사람이 추락해서 재해를 당하는 것과 어떠한 물건이 떨어져서 근처에 있는 사람이 재해를 당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안전난간은 상부난간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판, 난간기둥(지주/세로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부 난간대 : 몸을 지지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난간의 윗부분의 요소 중간 난간대 : 상부 난간대와 함께 몸을 지지하고, 손잡이의 파이프 등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난간의 요소 발끝막이판 : 난간 바닥의 물체가 아래로.. 2023. 12. 14. 산업안전보건법 온라인 정기안전보건교육 인정 조건, 업체 위탁 제조업, 건설업 등의 사업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그래서 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을 정기적으로 모이게 해서 교육을 실시하거나, 사내 안전보건관리 IT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들이 접속해서 교육을 듣게 합니다. 그런데 IT 시스템을 통해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노동부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정기안전보건교육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유와 많은 기업에서 온라인 정기안전보건교육을 업체에 위탁하는 이유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기 안전보건교육 의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근로자 정기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기준은 법 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시행규칙 제26조(교육시간 및 교육내용 등).. 2023. 11. 2.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 풍속, 강수량, 강설량 기준 외부 작업 시 바람이 많이 불거나, 비가 많이 오거나, 눈이 많이 내리면 작업자가 작업 중 다칠 위험이 굉장히 커집니다. 크레인 전도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물건이 날아와 부딪힘 등 많은 안전사고에 노출됩니다. 그래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풍속(바람), 강수량(비), 강설량(눈) 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작업을 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오늘은 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근거 1)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37조(악천후 및 강풍 시 작업 중지) 사업주는 비, 눈, 바람 또는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다만, 태풍 등으로 위험이 예상되거나 발생되어 긴급 복구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 2023. 10. 3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