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는 관리감독자의 정의와 이러한 관리감독자 분들이 법적으로 해야하는 업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관리감독자 정의(관리감독자란?)
관리감독자의 정의는 위와 같이 산안법 제16조에 명시 되어있다. 관리감독자는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으로, 보통 파트장, 팀장 등, 교대 조장 등을 관리감독자로 지정 한다.
2. 관리감독자의 업무(해야하는 일)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5조에는 이러한 관리감독자가 해야하는 일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1) 관리감독자는 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유해위험기계기구와 그 외에 위험할 수 있는 설비에 대해서 점검과 이상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서 관리감독자는 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유해위험기계기구가 무엇이 있는지 안전검사는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정도는 파악하고 있는게 좋겠습니다. 아래 글은 유해위험기계기구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글인데 필요하신 분은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기구' 종류를 한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기구' 종류를 한 눈에 알아보자!(2020.01.16 ~ 현재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 글의 주제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하
sale91.tistory.com
2) 관리감독자는 관리하는 직원들의 작업복, 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 사용에 관한 교육 지도를 해야 합니다. 법정 교육시간을 활용하여 위 사항들을 교육하고 기록관리 하면 됩니다.
3) 관리감독자는 관리하는 시설 또는 직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한 보고와 응급처치를 해야 합니다.
4) 관리감독자는 작업장 정리 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 및 감독을 해야 합니다.
5) 관리감독자는 해당 회사의 안전팀 또는 보건팀에서 지도 조언하는 사항에 대해 협조해야 합니다.
6) 관리감독자는 해당 부서 위험성평가(공정/작업)에 반드시 참여해야 합니다. 해당 부서에서 발생 할 만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개선조치 시행에 대해 참여해야 합니다.
7) 그 밖에 관한 사항(안전보건규칙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업무)
지금까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관리감독자의 정의와 이러한 관리감독자 분들이 해야하는 업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4.05.01 - [안전관리] - 공정안전관리 PSM과 SMS 비교(공통점 및 차이점)
공정안전관리 PSM과 SMS 비교(공통점 및 차이점)
가연성, 독성 물질 등 여러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제조업 특히 정유공장, 석유화학공장에서 공정 사고가 발생하면 화재, 폭발, 유/누출 사고로 이어져 그 피해가 엄청나기 때문에 공정안전관리가
sale91.tistory.com
2024.07.01 - [안전관리/산업안전] -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과정 및 절차(용어 정리 까지)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과정 및 절차(용어 정리 까지)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된 이후 여러 판례가 쌓이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큰 사고들에 대해 중대재해처벌법 수사과정이 속보로 뜨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중
sale91.tistory.com
'안전관리 >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해위험기계기구 이동식크레인 안전검사 후기(미리 알면 좋은 정보) (0) | 2024.11.12 |
---|---|
유해위험기계기구 안전검사, 자율검사프로그램 비교 (0) | 2024.08.21 |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과정 및 절차(용어 정리 까지) (0) | 2024.07.01 |
스마트 안전장비 알아보기(스마트 에어백 이란?, 사업장 적용 검토) (0) | 2024.06.30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기준 밎 사용 가능 항목('24년 7월 ~) (0) | 2024.06.25 |
댓글